본문 바로가기

정리53

[c] 백준 10870 #10870 더보기 문제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n이 주어졌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브론즈 2단계의 간단한 피보나치 수열 문제이다. 0일때는 0, 1일때는 1, 그외에는 모두 전과 전전수의 합이다. 따라서 재귀함수를 이용하여 0일때는 0을, 1일떄는 1을 리턴하고 그외에는 전과 전전 숫.. 2023. 8. 27.
[c] 코딩도장 파일입출력 문제 #70.8 fprintf()문에서 열었던 파일과 print할 구문, 그리고 출력할 각 변수들을 작성해주면 된다 #70.9 fgets()를 이용하여 파일을 읽을 수 있다. 지정된 버퍼크기인 100으로 정하여 문자열을 읽었다. 2023. 8. 27.
[c] 파일 입출력 fputs와 fgets #define _ORT_SECURE_NO_WARNINGS #include #define MAX 10000 int main(void){ //파일 입출력 //파일에 어떤 데이터를 저장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오기 //fputs, fgets char line[MAX]; //파일 열기 FILE * file = fopen("c:\\test1.txt","wb"); // r w a if(file == NULL){ printf("파일열기실패\n"); return 1; } //파일 쓰기 fputs("fput을 이용한 글적기",file); //파일을 열고 닫지않은 상태에서 프로그램에 문제가 생기면 데이터 손실 발생 fclose(file); return 0; } #define _ORT_SECU.. 2023. 8. 27.
[c] 구조체 관련 문제 풀이 codeup #1805 #include int main(){ int n = 0; //입체기동장치 수 int a[101],b[101]; // 식별번호와 가스보유량수 scanf("%d",&n); for(int i = 0; i 2023. 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