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리/Linux8

[LINUX] 프로그래밍 환경 프로그램 작성과 컴파일 gedit 문서 편집기 GNU의 대표적인 GUI 텍스트 편집기 GNOME 환경의 기본 편집기 gedit 메뉴 파일 새로 만들기, 열기, 저장, 되돌리기, 인쇄 편집 입력 취소, 다시 실행,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 삭제 보기 도구모음, 상태표시줄, 전체화면, 강조모드 검색 찾기, 바꾸기, 줄로 이동 도구 맞춤법 검사, 오타가 있는 단어 강조, 언어 설정, 문서 통계 문서 모두 저장, 모두 닫기, 새 탭 그룹, 이전 문서 gcc 컴파일러 $ gcc [-옵션] 파일 c 프로그램을 컴파일.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실행파일 a.out를 생성. -c 옵션 : 목적 파일 생성, -o 옵션 : 실행 파일 생성 단일 모듈 프로그램 코드의 재사용(reuse)이 어렵고, 여러 사람이 참여하는 프.. 2023. 5. 28.
[LINUX] 유틸리티 아카이브 tar 아카이브 아카이브 백업 또는 다르장소로의 이동을 위해 여러 파일들을 하나로 묶어놓은 묶음 아카이브를 만들거나 푸는데 tar(tape archive)명령어 사용 tar 명령어 옵션: c(create), v(verbose) x(extract), t(table of contents), f(file) $ tar -cvf 타프파일 파일+ 여러 파일들을 하나의 타르파일로 묶는다.(,tar) $ tar -xvf 타르파일 하나의 타르파일을 풀어서 원래 파일들을 복원핟낟 $ tar -tvf 타르파일 타르파일의 내용을 확인한다 파일 압축 gzip $ gzip [옵션] 파일 * 파을을 압축하여 .gz 파일을 만든다 -d: 압축해제 -l : 압축파일 안에 있는 파일 정보(압축 크기, 압축률) 출력 -r : 하.. 2023. 5. 21.
[LINUX] 인터넷과 원격 접속, 파일 유틸리티 인터넷 인터넷(Internet)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공개 컴퓨터 통신망 프로토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 사이 어떤 자료를 어떤 방식으로 언제 주고 받을지 등을 정해놓은 규약 (통신을 하기 위한 규약) IP(Internet Protocol) 호스트의 주소지정과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에 대한 규약. 인터넷 상의 각 컴퓨터는 자신의 IP 주소를 가짐. IP 주소 :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주소 $ ip addr 사용중인 시스템의 ip주소 출력 TCP(Transport Control Protocol)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로 받게 해줌. 호스트명(도메인 이름, domain.. 2023. 5. 14.
[LINUX] 쉘과 명령어 쉘 쉘(shell) 사용자와 운영체제 사이의 창구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 처리기(command processor) : 사용자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 쉘의 종류 쉘 실행파일 설명 본 쉘 (Bourne shell) /bin/sh - 벨 연구소의 스트븐 본에 의해 개발 - 유닉스에서의 기본 쉘 콘 쉘 (Korn shell) /bin/ksh - 1980년대 벨 연구소에서 본 쉘을 확장하여 만듬 Bash (Bourne again shell) /bin/bash - GNU에서 본 쉘을 확장하여 개발한 쉘 - 리눅스 및 맥 OS X에서 기본 쉘로 사용되며 널리 보급 - Bash 명령어의 구문은 본 쉘 명령어 구문을 확장 C 쉘 (C shell) /bin/csh - 빌 조이가 개발 - 쉘의 핵심 기능 .. 2023. 5. 7.